전체 글18 북한의 유전자 가위(CRISPR) 생물무기 위협과 대응 미 국부무가 2024년 4월 15일 발표한 '2024년 군비통제 준수 보고서'에 북한은 유전자 가위 (CRISPR)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북한은 어떠한 생물학 무기를 개발할 수 있고, 한국은 어떠한 위협에 직면할 것이며,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 CRISPR: Clusters of Regularly Interspaced Palindromic Repeats, 주기적 간격으로 분포하는 짧은 회문구조 반복 서열 보고서의 북한 평가북한이 "2003년 핵확산금지조약 탈퇴 통보와 관계없이 여전히 IAEA 안전조치 의무의 대상"이며, 북한이 "2023년 IAEA 안전조치 의무를 위반하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북한이 핵분열성 물질을 생산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며 영변의 실.. 2024. 5. 5. 군비통제 협상 방식 군비통제를 위한 협상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각 협상 방식마다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다양한 방식 중에 여섯 가지 협상방식이다. 첫째, 정상회담 방식이다 군비통제 협상에 있어서 정상회담 방식은 중대한 이슈 처리에 있어 가장 직접적이고 강력한 방식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냉전 기간 동안 미국과 소련 사이에 많은 군비통제 협상이 이뤄졌으며, 이 중 몇몇은 정상회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1986년,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소련 총서기가 아이슬란드의 레이캬비크에서 만난 정상회담이다. 이 회담은 핵무기를 포함한 광범위한 군비통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비록 이 회담은 구체적인 합의에 이르지 못했지만, 두 정상 간의.. 2024. 4. 21. 전략무기제한회담 II(SALT II)의 정의(Definition)와 관련한 문제들 군비통제 조약 협상에서 가장 어렵고 긴 시간 동안 협상을 요하는 요소는 상호 간의 합의된 정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다음은 SALT I 협상에서 미국과 소련이 합의하지 못했던 3가지 요소에 대한 정의에 대해 알아본다. 중형(重型) 미사일의 정의를 극구 반대한 소련 미국이 기존의 중형 미사일 선호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기술적으로 향상된 미니트맨을 통해 더 정확하게 타격하고 사용이 용이한 고체 연료로 미사일을 교체하였지만, 소련은 이와 반대로 중형 미사일을 추진하였다. 소련의 SS-9 미사일은 길이가 미니트맨의 두 배 정도이고 위력은 25메가톤 정도로 타이탄의 5배, 미니트맨의 12배 이상이었다. 미국은 소련이 SS-9 미사일을 보복 무기가 아니라 선제공격을 통해 미국의 지상 ICBM을 파괴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2024. 4. 14. 손실 회피와 이익 획득, 군비통제 손실 회피와 이익 획득 대니얼 카너먼에 의하면 우리는 이익 달성보다 손실 회피 성향이 강하다고 한다.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손실이고, 목표를 넘어서면 이익이다. 그래서 목표 달성에 실패하지 않으려고 회피하는 성향은 목표를 초과 달성하려는 욕구보다 훨씬 강하다. 펜실베이니아대학의 경제학자 데빈 포프와 모리스 슈바이처는 골프의 파 퍼팅과 버디퍼팅을 손실 회피와 이익 획득의 좋은 사례라고 생각했다. 골프코스에는 홀마다 타수가 있다. 파의 수는 괜찮은 수준의 기준을 제시한다. 프로골프 선수라면 버디(파보다 1타 적을 때)는 이익이고, 보기(파보다 1타 많을 때)는 손실이다. 경제학자들은 골프 선수가 홀 가까이 왔을 때 마주할 상황 두 가지를 비교했다. - 보기를 피하는 퍼팅 - 버디를 잡는 퍼팅 골프에서는.. 2024. 3. 30. 이전 1 2 3 4 5 다음